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상황적 리더십 이론의 의미, 구성요소, 측정 및 향상 방법
    인적자원개발 2023. 11. 22. 22:25

    상황적 리더십 이론의 의미와 구성요소, 측정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상황적 리더십 이론의 의미

     

    상황적 리더십 이론은 리더십이 상황에 따라 변화해야 한다는 개념을 강조하는 이론입니다. 즉, 어떤 상황에서는 특정한 리더십 스타일이 효과적일 수 있지만, 다른 상황에서는 다른 스타일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을 주장합니다. 이 이론은 리더가 상황을 잘 이해하고 그에 따라 적절한 리더십 스타일을 선택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상황적 리더십 이론에는 여러 가지 모델과 접근 방식이 있지만, 그 중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Hershey와 Blanchard의 "Situational Leadership Theory (SLT)" 이 가장 잘 알려져 있으며 이는 "Situational Leadership Model" 이라고도 불리웁니다. 이 이론은 리더십 행동을 4가지 스타일로 분류하고, 이를 상황의 수행능력(능력)과 동기(의지)에 따라 조절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으며 1969년에 발표된 "Management of Organizational Behavior: Utilizing Human Resources"라는 책에서 처음 소개되었습니다.

     

     

    상황적 리더십 이론의 구성요소

    이 이론은 리더십 행동을 하위원의 수행능력(능력)과 동기(의지)의 두 가지 차원에 따라 4가지 스타일로 분류하고, 각 상황에 맞는 적절한 리더십 스타일을 선택하는 것을 강조합니다.

    지시(목표지향적) 스타일 (Telling)

    리더가 명령과 지시를 통해 하위원들에게 어떻게 일을 수행해야 하는지 명확히 알려주는 스타일입니다. 이 스타일은 수행능력이 낮고 동기가 낮은 상황에서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안내(설명지향적) 스타일 (Selling)

    리더가 설명과 타당성을 통해 하위원들을 동의하고 이해시키며 목표에 대한 참여를 유도하는 스타일입니다. 이 스타일은 수행능력은 여전히 낮지만 동기는 높은 상황에서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지지(지원지향적) 스타일 (Participating)

    리더가 하위원들의 의견을 듣고 그들의 참여와 협력을 촉진하는 스타일입니다. 이 스타일은 수행능력이 높지만 동기가 낮은 상황에서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권고(장려지향적) 스타일 (Delegating)

    리더가 하위원들에게 책임과 자율성을 부여하여 일을 수행하도록 하는 스타일입니다. 이 스타일은 수행능력과 동기가 모두 높은 상황에서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상황적 리더십 이론은 특정한 상황에 대한 적응력을 갖춘 리더가 효과적으로 조직을 이끌 수 있도록 돕습니다. 이는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조직적 요인을 고려하며, 팀원들의 수행능력과 동기를 적절히 인식하여 리더십 스타일을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상황적 리더십 측정 방법

    상황적 리더십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측정할 수 있습니다.


    자가평가 및 피드백

    리더와 팀원들은 상황적 리더십 스타일을 자가평가하고, 피드백을 통해 리더십 행동의 효과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이는 리더가 자신의 강점과 약점을 인식하고 개선점을 찾는 데 도움이 됩니다.

    360도 피드백

    리더의 주변에서 일하는 팀원, 동료, 상사 등 다양한 관점에서 피드백을 수집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리더의 행동이 어떻게 인식되는지를 이해하고 개선점을 찾을 수 있습니다.

    성과 측정

    팀 또는 조직의 성과를 측정하여 리더의 상황적 리더십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성과 향상이나 팀원들의 만족도 증가 등이 리더십 효과의 지표가 될 수 있습니다.

    상황별 적응력 측정

    각 상황에서 어떤 리더십 스타일이 적용되었는지를 측정하고 이를 상황별로 분석하여 적절한 대응을 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들은 상황적 리더십을 개선하고 측정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특히 피드백과 지속적인 평가를 통해 리더는 자신의 리더십 스타일을 조절하고 발전시킬 수 있습니다.

     

     

    상황적 리더십 향상 방법

    끝으로 상황적 리더십의 향상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상황 판단 능력 강화

    리더는 주어진 상황을 정확하게 판단하고 팀원들의 수행능력과 동기를 신속하게 파악해야 합니다. 상황을 올바르게 이해하면서 효과적인 리더십 스타일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의사 소통 강화

    효과적인 의사 소통은 상황적 리더십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리더는 명확하게 지시하고 설명하며, 팀원들과의 대화를 통해 상황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고 공유해야 합니다.

    적응성 및 유연성 강조

    상황적 리더는 변화에 대한 높은 적응성을 갖추어야 합니다. 새로운 정보나 상황이 발생하면 이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조절하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개인 발전 및 학습

    리더는 지속적인 개인 발전을 통해 리더십 기술과 지식을 향상시켜야 합니다. 새로운 리더십 이론이나 도구에 대한 학습은 상황에 따른 적절한 대응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상황적 리더십 이론에 대하여 간략히 살펴보았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진정성 리더십과 서번트 리더십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