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긍정심리이론과 인적자원개발
    인적자원개발 2023. 12. 7. 23:51

    오늘은 긍정심리이론과 HRD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긍정심리학 개요

    긍정심리이론은 개인이나 조직의 성장과 발전을 이해하고 촉진하기 위해 긍정적인 감정, 태도, 행동에 중점을 둔 이론들의 집합을 의미합니다. 이 이론들은 주로 인간의 강점, 성장, 행복, 창의성, 협력 등 긍정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조직이나 개인의 전반적인 효율성을 향상시키고자 합니다. 긍정심리이론은 개인과 조직의 성공과 행복을 추구하며, 강점, 긍정적인 감정, 성장 등에 주목하여 전반적인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접근법들을 종합적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마틴 셀리그먼이 주장한 긍정심리학은 전통적인 심리학이 주로 부정적인 측면에 중점을 두는 반면, 긍정적인 측면을 연구하는 분야입니다. 개인과 집단의 행복, 만족, 창의성, 성장 등 긍정적인 측면을 이해하고 강화함으로써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긍정심리학 유형

    PERMA 모델

    마틴 셀리그먼이 제안한 PERMA 모델은 긍정적인 심리적 특성을 다섯 가지 영역으로 분류합니다.

     

    Positive Emotion (긍정적 감정) : 즐거움, 기쁨, 흥미 등의 감정을 포함합니다.
    Engagement (몰입) : 일 하는 동안의 흥미로움과 몰입을 의미합니다.
    Relationships (관계) : 사회적인 연결성과 사람 간의 관계를 강조합니다.
    Meaning (의미) : 삶에 대한 목적과 의미를 찾는 것을 강조합니다.
    Accomplishment (성취) : 목표 달성과 성취에 대한 만족을 다룹니다.

     

     

    관여와 참여 이론 (Broaden-and-Build Theory)

    바버라 프레드릭슨이 제안한 이론으로, 긍정적 감정은 생각과 행동의 유연성을 높이고, 새로운 아이디어와 행동을 유도한다고 주장합니다. 즉, 긍정적인 감정은 마음을 열고, 창의성과 협력을 촉진하여 더 넓은 범위의 생각과 행동을 가능케 합니다.

     

    강점 기반 접근 (Strengths-Based Approach)

    강점 기반 접근은 개인이나 조직의 강점과 긍정적인 면에 주목하고, 이를 활용하여 성과를 향상시키는 접근법입니다. 이는 강점을 찾아냄으로써 개인이나 팀이 더 나은 성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약점 극복 이론 (Post-Traumatic Growth):

    어떠한 어려운 상황이나 부정적인 사건을 경험한 후에도 개인이 성장하고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내는 현상을 다룹니다. 이 때, 약점 극복은 어려움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자기 성장을 경험하게 되는 것을 강조합니다. 

     



    긍정심리이론과 HRD의 관계

    조직문화와 긍정심리

    HRD는 조직문화를 통해 긍정심리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데 기여합니다. 긍정적인 리더십, 팀 빌딩, 감정지능 향상 프로그램 등을 통해 조직 구성원들의 긍정적인 감정과 행동을 유도합니다.

     

    강점 기반 개발

    HRD는 개인과 팀의 강점을 찾아내고 이를 개발하는데 중점을 둡니다. 강점 기반의 개발은 긍정적인 심리적 특성을 높이고 개인의 성장을 촉진합니다.

     

    포지티브 리더십 개발

    긍정심리이론은 포지티브 리더십을 강조합니다. HRD는 리더들에게 긍정적인 리더십 스타일을 강화하고 조직 내에 긍정적인 리더 문화를 조성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사회적 자본 강화

    긍정심리이론은 사회적 자본을 강화하고 향상시키는데 중점을 둡니다. HRD는 팀 간 협력, 커뮤니케이션 강화, 관계 개선 등을 통해 사회적 자본을 증진시키는 프로그램을 개발합니다.

     

    학습 및 성장 프로그램

    긍정심리이론은 개인이 어려움을 극복하고 성장하는 과정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을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HRD는 이를 지원하기 위해 학습 및 개발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어려운 상황에서의 긍정적인 성장을 촉진합니다.

     

    조직의 목표 달성과 긍정적 영향

    HRD는 조직의 목표 달성을 위해 구성원들의 긍정적인 태도와 행동을 조성합니다. 긍정적인 조직문화를 형성하고 유지함으로써 조직 내에서 높은 성과를 이끌어내는데 기여합니다.

     

    심리적 안녕감과 직무만족

    긍정심리이론은 개인의 심리적 안녕감과 직무만족이 성과와 긍정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제시합니다. HRD는 심리적 안녕감과 직무만족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구성원들의 전반적인 효율성을 향상시킵니다.

     

     

    이처럼 긍정심리이론과 HRD는 모두 개인과 조직의 긍정적인 변화와 발전을 목표로 합니다. HRD는 긍정심리를 형성하고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과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조직 구성원들의 효율성과 만족도를 향상시킵니다. 

     

    다음시간에는 조직심리이론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인적자원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킬베이스드러닝(Skill-Based Learning)과 HRD  (0) 2024.03.02
    조직심리이론과 인적자원개발  (1) 2024.01.26
    HRD와 기업문화의 관계  (4) 2023.12.02
    OJT와 S-OJT  (0) 2023.12.02
    HRD 교육평가모형  (0) 2023.11.29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