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교수설계의 의미와 단계 및 방법
    인적자원개발 2023. 10. 25. 23:49

    교수설계란 교육과정 개발, 강의와 같은 교육방법 계획, 운영 등을 위한 핵심과정을 의미합니다. HRD교수자가 학습자에게 효과적으로 지식, 기술 및 태도를 전달하고, 학습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체계적이고 전략적인 방법론을 활용해야 합니다. 즉, 교수설계는 교육과정 개발, 교육 계획, 자료 확보, 교육 평가 방법 설계, 학습 환경 관리 등 다양한 측면을 다루며 여러 요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교수설계의 단계
    교수목표 설정
    교수설계의 출발점은 명확한 교수 목표를 설정하는 것입니다. 이 목표는 학습자들이 습득해야 하는 지식, 기술 또는 태도를 정의하며 교육의 최종 결과를 정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특히, 교육목표는 학습자의 능력과 수준을 고려하여 정해져야 합니다.

    커리큘럼 개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경로를 제시하는 커리큘럼을 개발하는 것을 뜻합니다. 이 단계에서 어떤 주제나 내용을 다룰 것인지, 각 주제의 중요성, 순서, 교육 시간일정 등을 고려하여 커리큘럼을 설계합니다.

    교육계획 수립
    교육계획 수립이란 실제 교육을 구체적으로 계획하는 단계로, 강의계획서 작성하는 과정을 포함합니다. 과정 목표, 학습 활동, 교재 및 자료, 교교육 시간 관리, 그룹 활동 및 학습자원을 명확하게 정의하는 것을 말합니다.

    교육 자원 및 도구 선택
    교육 자료, 교재, 기술, 학습 자원을 활용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인 교육을 운영할 수 있습니다. 이는 교육과정을 풍부하게 하고 학습자들의 학습을 지원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교육평가 방법 설계
    학습자의 학습성과를 평가하기 위한 교육평가 방법을 교육시행 전에 설계합니다. 이는 과제, 시험, 프로젝트, 토론, 포트폴리오, 피드백 등을 통해 학습자들의 이해도와 성취도를 측정하고 개선하는데 사용됩니다.

    과정 진행
    계획에 따라 교육과정을 진행하며 학습자들에게 지식을 전달하고 학습 경험을 제공합니다. 교수자는 학습자들과 상호작용을 통해 적절한 학습 환경을 조성합니다.

    교육평가 및 수정
    교육이 진행됨에 따라 교수자는 학습자의 피드백을 수용하고 수업 계획을 조정하거나 개선합니다. 이러한 지속적인 평가와 수정 과정을 통해 교수 방법을 개선하고 학습자들의 학습 경험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교수설계는 학습자의 다양한 요구와 능력을 고려하며 효과적인 학습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중요한 접근 방식입니다. 교육자는 학습자들을 이해하고 학습 목표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방법을 개발하며, 학습자들의 성공을 돕기 위해 지속적으로 자신의 교수 방법을 개선해야 합니다. 


    교수설계와 요구분석의 관계
    또한 교수설계와 요구분석은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데 상호협력하며 작용합니다. 교육요구분석은 시작 단계로, 교육의 필요성을 평가하고 목표를 설정합니다. 교수설계는 이러한 목표와 요구사항에 기반하여 구체적인 교육 계획을 개발합니다. 요구분석의 결과가 교수설계에 전달되고 교육 프로그램이 요구사항과 목표에 부합하도록 설계됩니다.

    교수설계는 목표 중심적입니다. 교육요구분석에서 도출된 목표 및 요구사항을 고려하여 수업 내용, 학습 활동, 평가 방법 등을 설계합니다. 교수설계는 목표 달성을 위한 로드맵을 제공하며, 이로써 학습자가 지식, 기술, 태도를 개발하고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ISD 모델을 통한 교수설계
    Instructional Systems Design (ISD) 모델이란 교수설계를 체계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프레임워크입니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ISD 모델은 ADDIE 모델(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Evaluation)이며, 각 단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분석(Analysis)
    분석 단계에서 교육의 필요성을 평가하고 목표를 설정합니다. 교육요구분석이 수행되고, 교육 목표와 교육 계획의 초석을 놓습니다.

    설계 (Design)
    설계 단계에서는 분석 단계의 결과를 기반으로 학습 경험을 디자인합니다. 수업 계획, 학습 활동, 교재, 자료, 평가 방법 등을 개발합니다. 이 단계는 교수설계의 핵심 단계로, 목표 중심의 수업을 구체화합니다.

    개발 (Development)
    설계 단계에서 개발된 자료와 자원을 제작하고 구현합니다. 이로써 교수자가 실제로 사용할 수업 자료와 학습 도구를 개발합니다.

    구현 (Implementation)
    교육 프로그램을 학습자에게 제공하고 실제 수업을 진행합니다.

    평가 (Evaluation)
    교육의 효과를 측정하고 교수설계의 효과를 평가합니다. 이러한 평가 결과를 토대로 교육 프로그램을 수정하거나 개선합니다.

    ISD 모델은 교수설계와 교육요구분석을 하나로 통합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며 교육의 지속적인 개선을 가능하게 합니다. 교수설계와 요구분석이 협력하여 학습자 중심의 교육을 제공하고 교육 목표를 달성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교수법 및 교육운영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Designed by Tistory.